본문 바로가기

Python

(68)
[Python/level 0] 아이스 아메리카노 - 120819, [money // 5500, money % 5500] 문제 설명머쓱이는 추운 날에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만 마십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한잔에 5,500원입니다. 머쓱이가 가지고 있는 돈 mone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가 최대로 마실 수 있는 아메리카노의 잔 수와 남는 돈을 순서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money // 5500, money % 5500]money // 5500: 최대로 마실 수 있는 아메리카노 잔 수money % 5500: 남은 돈 code# 나의 풀이def solution(money): americano = [] americano.append(money//5500) americano.append(money%5500) return americano# 다른 방법..
[Python/level 0] 피자 나눠 먹기 (1) - 120814, (n-1) // 7+1 문제 설명머쓱이네 피자가게는 피자를 일곱 조각으로 잘라 줍니다. 피자를 나눠먹을 사람의 수 n이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이 피자를 한 조각 이상 먹기 위해 필요한 피자의 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n - 1) // 7 + 1기본적으로 피자를 7조각으로 자르기 때문에, 피자 한 판으로 최대 7명이 한 조각씩 먹을 수 있음1~7명: 피자 1판8~14명: 피자 2판15~21명: 피자 3판즉, 피자 한 판이 추가될 때마다 7명이 추가로 먹을 수 있음(n - 1)1명~7명까지의 경우를 0~6범위로 변환(n - 1) // 70~6까지의 경우를 7로 나누면 몫: 0 = 즉, 7명까지의 몫은 07이 넘을 경우 몫은 1, 14를 넘을 경우 몫은 2+ 1피자의 기본 한 판이 포함됨시간 복..
[Python/Silver IV] 덱 - 10866, deque, split(" ") vs. split(), sys.stdin 문제 설명정수를 저장하는 덱(Deque)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push_front X: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push_back X: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pop_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pop_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size: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empty: 덱이 비어있으면 1을, 아니면 0을 출력한다.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
[Python] 문자열 다루기 기본, .isdigit() 문제 설명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isdigit()str.isdigit()Return True if all characters in the string are digits and there is at least one character, False otherwise.Return True: digits(지수, 밑수 등도 포함)이면 True 반환Return Flase: 1글자라도 문자가 들어가면 False 반환Digits include decimal characters and digits that need special hand..
[Python] 모음 제거, .replace(), .join(), 리스트 컴프리헨션 문제 설명영어에선 a, e, i, o, u 다섯 가지 알파벳을 모음으로 분류합니다.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음을 제거한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replace(old_value, new_value, count)The replace() method replaces a specified phrase with another specified phrase.지정된 구문을 다른 구문으로 대체Parameter DescriptionoldvalueRequired. The string to search fornewvalueRequired. The string to replace the old value withcountOptional. A number s..
[Python] 짝수 홀수 개수, answer = [0, 0], answer[n%2] +=1 문제 설명정수가 담긴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질 때, num_list의 원소 중 짝수와 홀수의 개수를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answer = [0, 0]answer[0], answer[1]에 각각 짝수 홀수 개수를 카운팅def solution(num_list): answer = [0, 0] for i in range(len(num_list)): if num_list[i] % 2 == 0: answer[0] += 1 else: answer[1] += 1 return answer answer[n%2] +=1n%2 = 0 -> answer[0] += 1n%2 = 1 -> answ..
[Python] 머쓱이 보다 키 큰 사람, .append(), .sort() - 생략 가능 문제 설명머쓱이는 학교에서 키 순으로 줄을 설 때 몇 번째로 서야 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머쓱이네 반 친구들의 키가 담긴 정수 배열 array와 머쓱이의 키 he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append(), .sort()array: 배열에 머쓱이 키를 담고 정렬array.append(height)array.sort()for & if문으로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카운트for i in array:if i > height: count += 1def solution(array, height): array.append(height) array.sort() count = 0 for i in array: ..
[Python] 개미 군단, (hp//5) + ((hp%5)//3) + ((hp%5)%3) 문제 설명개미 군단이 사냥을 나가려고 합니다. 개미군단은 사냥감의 체력에 딱 맞는 병력을 데리고 나가려고 합니다. 장군개미는 5의 공격력을, 병정개미는 3의 공격력을 일개미는 1의 공격력을 가지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체력 23의 여치를 사냥하려고 할 때, 일개미 23마리를 데리고 가도 되지만, 장군개미 네 마리와 병정개미 한 마리를 데리고 간다면 더 적은 병력으로 사냥할 수 있습니다. 사냥감의 체력 h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사냥감의 체력에 딱 맞게 최소한의 병력을 구성하려면 몇 마리의 개미가 필요한지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hp//5) + ((hp%5)//3) + ((hp%5)%3)장군개미 수: 사냥감의 체력 // 장군개미의 공격력 = (hp /5)병정개미 수: ..

반응형